2025. 3. 9. 11:07ㆍ주식공부
YoY, QoQ, MoM, HoH, Ytd, Qtd : 시간 비교 용어 완벽정리!
경제 기사, 회사 보고서, 데이터 분석, 특히 우리가 주목하는 실적발표! 에서 자주 보이는 용어들, 바로 YoY, QoQ, MoM, HoH, YTD, QTD예요. 이들은 시간 단위로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측정하는 지표인데, 이름만 봐서는 헷갈릴 수 있죠. 하지만 하나씩 뜯어보면 간단하고, 상황에 따라 쓰임새가 달라서 알아두면 정말 유용해요. 각 용어의 뜻과 예시, 그리고 어디에 활용되는지 자세히 정리해 볼게요!
1. YoY (Year over Year) - 전년 대비
YoY는 "전년 대비"로, 올해 특정 시점과 작년 같은 시점을 비교해요. 1년이라는 긴 주기로 변화를 보기에 계절적 요인이나 장기 트렌드를 분석할 때 강력하죠.
- 예시: 2025년 3월 매출이 5억 원이고, 2024년 3월이 4억 원이었다면 YoY 성장률은 25%예요. 예를 들어, 겨울철 판매량이 늘어나는 의류 업체가 작년 겨울과 비교하며 실적을 점검할 때 딱이에요.
- 활용: 기업 연간 보고서나 경제 성장률 발표에서 자주 보입니다. "작년 대비 매출이 10% 증가" 같은 표현이 YoY죠.
2. QoQ (Quarter over Quarter) - 전분기 대비
QoQ는 "전분기 대비"로, 이번 분기와 직전 분기를 비교해요. 3개월 단위로 중기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좋아요.
- 예시: 2025년 1분기 수익이 3억 원이고, 2024년 4분기가 2.5억 원이라면 QoQ로 20% 늘어난 거예요. 예를 들어, 신제품 출시 후 분기별 판매량 변화를 체크할 때 유용하죠.
- 활용: 분기 실적 발표나 계절별 변동이 큰 산업(예: 소매업)에서 많이 사용돼요.
3. MoM (Month over Month) - 전월 대비
MoM은 "전월 대비"로, 이번 달과 직전 달을 비교합니다. 단기적인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어요.
- 예시: 2025년 3월 웹 방문자가 10만 명, 2월이 9만 명이라면 MoM 증가율은 11.1%예요. 새로운 광고 캠페인을 시작한 후 바로 효과를 확인하고 싶을 때 좋아요.
- 활용: 마케팅, 웹 트래픽 분석처럼 즉각적인 피드백이 중요한 분야에서 빛을 발해요. 다만, 계절 요인 때문에 왜곡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요.
4. HoH (Half over Half) - 반기 대비
HoH는 "반기 대비"로, 6개월 단위로 데이터를 비교해요. 연간은 너무 길고 분기는 짧을 때 중간 지점으로 적합하죠.
- 예시: 2025년 상반기 매출이 10억 원, 2024년 하반기 가 9억 원이라면 HoH로 11.1% 증가한 셈이에요. 예를 들어, 반기마다 전략을 조정하는 회사가 성과를 점검할 때 유용합니다.
- 활용: 반기 보고서나 중장기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평가할 때 자주 나와요.
5. YTD (Year to Date) - 연초부터 현재까지
YTD는 "연초부터 현재까지"로, 1월 1일부터 지금 시점까지의 누적 데이터를 뜻해요. 특정 기간의 총합을 볼 때 사용됩니다.
- 예시: 2025년 3월 7일까지 매출이 7억 원이라면, 2025년 1월 1일부터 3월 7일까지의 YTD 매출이 7억 원이에요. 연간 목표 20억 원의 35%를 달성한 거죠.
- 활용: 개인 투자 포트폴리오나 회사 연간 목표 대비 실적을 점검할 때 최고예요. "올해 들어 지금까지 얼마 벌었나?"를 알 수 있죠.
6. QTD (Quarter to Date) - 분기초부터 현재까지
QTD는 "분기초부터 현재까지"로, 분기 시작부터 지금까지의 누적 데이터를 말해요. 분기 내 진행 상황을 체크하기 좋아요.
- 예시: 2025년 1분기(1~3월) 중 2월 15일까지 매출이 2억 원이라면, QTD는 1월 1일부터 2월 15일까지 2억 원이에요. 분기 목표 5억 원의 40%를 달성한 셈이죠.
- 활용: 분기별 KPI(핵심 성과 지표)를 관리하거나 프로젝트 마일스톤을 확인할 때 유용해요.
비교 포인트!
- 시간 범위: YoY(1년) > HoH(6개월) > QoQ(3개월) > MoM(1개월). YTD와 QTD는 누적 개념이라 기간이 유동적이에요.
- 용도 차이: YoY와 HoH는 큰 흐름, QoQ와 MoM은 세부 변화, YTD와 QTD는 목표 대비 실적을 볼 때 강해요.
- 실제 비교 예시: 2025년 3월 매출 5억 원이라면, YoY는 2024년 3월, QoQ는 2024년 4분기, MoM은 2025년 2월, YTD는 2025년 1월 1일부터 3월까지를 각각 비교 대상으로 삼아요.
- 팁: 데이터를 볼 때 기준 시점을 꼭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MoM만 보고 "성적이 올랐다"고 좋아했다가 YoY로 보면 떨어진 경우도 있거든요.
이 용어들을 이해하면 숫자가 말하는 이야기를 훨씬 잘 읽을 수 있어요. 다음에 보고서나 뉴스를 볼 때 시간 단위를 유심히 살펴보고, 상황에 맞는 지표를 골라보세요. 데이터가 훨씬 친근해질 거예요!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연방 부채 증가, 정말 위험한 걸까? (0) | 2025.03.11 |
---|---|
주간 시황분석. (0) | 2025.03.10 |
EPS, PER, PBR, ROE: 주식 용어 쉽게 이해하기! (3) | 2025.03.08 |
트럼프가 보는 미국주식의 미래는..? (feat.워렌버핏) (3) | 2025.03.08 |
금리와 주식시장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질까? (3)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