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투석: 일반인을 위한 쉬운 가이드
2025. 5. 2. 21:35ㆍ본업 모멘트
복막투석의 절차
복막투석은 복막을 통해 혈액을 정화하는 과정입니다. 다음은 간단한 작동 원리입니다:
- 카테터 삽입: 복강에 작은 관(카테터)을 삽입합니다. 이 카테터는 투석액(특수 용액)을 복강에 넣고 빼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보통 배꼽 아래쪽에 삽입되며, 수술은 간단하게 이루어져 당일 퇴원도 가능합니다.
- 투석액 주입(In): 투석액(포도당과 전해질이 포함된 무균 용액)을 카테터를 통해 복강에 넣습니다.
- 체류(Sit): 투석액이 복강에 머무르는 동안(보통 4~6시간), 복막을 통해 혈액 속 노폐물과 여분의 수분이 투석액으로 이동합니다.
- 배출(Drain): 시간이 지나면 노폐물이 섞인 투석액을 카테터를 통해 배출하고, 새로운 투석액으로 교체합니다.
이 과정은 하루 3~5회, 또는 밤에 기계(사이클러)를 사용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자세한 투석 방법은 글보단 직접 보는 것이 훨씬 좋으니, '강동경희대' 병원의 영상을 아래에 올려놓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Wbc6ATR2Ww
복막투석 관리법
복막투석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하려면 몇 가지 관리법을 잘 지켜야 합니다. 다음은 일반인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주요 팁입니다:
1. 감염 예방
★제일제일 정말 중요합니다!! 병원에 오시는 복막투석환자 10중 8,9는 복막염 감염으로 입원오시기 때문입니다!
- 손 위생: 투석 전후에는 항상 비누로 손을 철저히 씻거나 소독제를 사용하세요.
- 카테터 부위 관리: 카테터 출구 부위(배에 튜브가 나오는 곳)를 매일 항균 비누로 세척하고,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세요. 붉어지거나 고름, 통증이 생기면 즉시 병원에 연락하세요.
- 투석액 점검: 투석액이 흐리거나 이상한 냄새가 나면 사용하지 말고, 병원에 문의하세요.
2. 투석액 관리
- 온도 조절: 투석액은 체온(약 37°C)으로 데워서 사용하세요. 차가운 투석액은 복통을 유발하거나 혈관을 수축시켜 투석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전용 히터나 병원 지침을 따르세요.
- 정확한 시간 준수: 투석액 체류 시간과 교체 일정을 의사 지시에 따라 엄격히 지키세요. 너무 오래 체류하거나 너무 빨리 배출하면 효과가 떨어집니다.
3. 생활 습관
- 식단 관리: 신부전 환자는 단백질, 나트륨, 칼륨, 인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병원의 영양사와 상담해 맞춤 식단을 계획하세요.
- 운동: 복강에 투석액이 차 있는 상태에서는 격렬한 운동(무거운 물건 들기, 점프)을 피하고, 걷기나 가벼운 스트레칭을 추천합니다. 수영은 카테터 부위가 완전히 치유된 후, 방수 드레싱을 사용해야 가능합니다.
- 변비 예방: 변비는 카테터 배출을 방해하거나 복압을 높여 복막투석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예: 채소, 통곡물)과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필요하면 의사가 처방한 완화제를 사용하세요.
4. 주의점
-
- 감염 위험: 복막염(peritonitis)은 복막투석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세균 감염으로 복막이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흐린 투석액, 복통, 발열이 있으면 즉시 병원에 연락하세요.
- 자가 관리 필요: 투석을 스스로 해야 하므로 규칙적인 생활과 위생 관리가 중요합니다.
- 합병증: 카테터 막힘, 복막 손상, 탈장 등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복막투석은 신부전 환자들에게 자유롭고 편리한 삶을 제공하는 훌륭한 치료법입니다. 하지만 감염 예방과 철저한 관리가 성공의 열쇠입니다. 처음에는 낯설고 어려울 수 있지만, 병원 교육과 가족의 도움을 받으면 누구나 집에서 안전하게 투석을 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신장 전문의나 투석 간호사에게 꼭 문의하세요. 건강한 삶을 위한 첫걸음을 응원합니다!
'본업 모멘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VRE 환자가 다인실 격리? CRE, CPE와 어떻게 다른 걸까? (0) | 2025.04.21 |
---|---|
혈압이 130? 140? 내가 고혈압일까? (0) | 2025.04.16 |
갑자기 어지러워요… 빈혈인지, 저혈압인지? (0) | 2025.04.15 |
칼륨이 몸에 미치는 영향 (2) | 2025.04.13 |
체온 37.5도는 열일까? 발열과 해열제의 모든 것 (1)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