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이 130? 140? 내가 고혈압일까?
2025. 4. 16. 13:42ㆍ본업 모멘트
안녕하세요, 여러분! 집에서 혈압 재봤는데 숫자가 130, 심지어 140 근처로 나오면 “이게 고혈압인가?” 걱정되시죠? 병원에서 간호사로 일하면서 “내 혈압 괜찮은 건지 알려주세요!”라는 질문 정말 많이 들어요. 오늘은 고혈압의 기준, 왜 생기는지, 그리고 집에서 똑똑하게 관리하는 법까지 알려드릴게요
혈압의 정상범위는?

혈압은 심장이 피를 뿜을 때(수축기)와 쉴 때(이완기)의 압력을 숫자로 보여줘요. 예를 들어, 120/80mmHg면 수축기 120, 이완기 80이에요. 그럼 정상 범위는 뭘까요?
- 정상: 120/80 미만.
- 고혈압 전단계: 수축기 120~129, 이완기 80 미만.
- 1기 고혈압: 수축기 130~139 또는 이완기 8~089.
- 2기 고혈압: 수축기 140 이상 또는 이완기 90 이상.
그러니까 혈압이 130이나 140 나오셨다면? 고혈압 전단계나 1기 고혈압일 가능성이 있어요. 하지만 한 번 측정으로 바로 고혈압이라고 단정 짓진 않아요. 병원에서도 며칠 동안 여러 번 재보면서 확인한답니다.
고혈압, 왜 생길까?

고혈압은 혈관이 좁아지거나 피가 세게 흐를 때 생겨요. 원인은 다양하지만, 흔한 몇 가지는
- 유전: 가족 중 고혈압 있으면 위험 올라가요. (질병이다 보니 역시 가족력이 큰 원인을 차지합니다.)
- 생활 습관: 짠 음식, 과체중, 운동 부족, 스트레스
- 나이: 나이 들수록 혈관 탄력 떨어져 혈압 오를 수 있어요.
- 기타: 흡연, 과음, 당뇨 같은 만성질환도 영향을 줘요.
간호사로 일하면서 고혈압 환자분들 보면, “나 짠 거 안 먹는데…” 하시면서도 간장, 찌개 국물 팬이라 깜짝 놀라시는 분들 많아요. 몰래 숨어있는 소금이 문제랍니다!
간호사의 고혈압 관리 꿀팁
혈압 130~140이라면 아직 약 먹기 전, 생활 습관으로 잡아볼 기회예요!
- 식사: 소금 줄이기(하루 5~6g, 라면보다 집밥!). 칼륨 많은 바나나, 시금치 좋아요.
- 운동: 주 5일, 30분씩 걷기나 자전거 타기. 숨찰 정도면 딱 좋아요.
- 스트레스: 명상, 깊은 호흡 5분만 해도 혈압 내려가요. 저도 병원 바빠질 때 호흡으로 진정한답니다.
- 체중: 5kg만 빼도 혈압 5~10mmHg 내려갈 수 있어요.
- 금연·절주: 담배는 혈관 좁히고, 술은 하루 1~2잔 이하로!
'본업 모멘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막투석: 일반인을 위한 쉬운 가이드 (1) | 2025.05.02 |
---|---|
VRE 환자가 다인실 격리? CRE, CPE와 어떻게 다른 걸까? (0) | 2025.04.21 |
갑자기 어지러워요… 빈혈인지, 저혈압인지? (0) | 2025.04.15 |
칼륨이 몸에 미치는 영향 (2) | 2025.04.13 |
체온 37.5도는 열일까? 발열과 해열제의 모든 것 (1) | 2025.04.10 |